맨위로가기

클레망소급 항공모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레망소급 항공모함은 1950년대 프랑스 해군이 도입한 CATOBAR 방식의 항공모함이다. 2척이 건조되었으며, 프랑스의 국방 자립을 위해 설계되었다. 1961년 클레망소, 1963년 포슈가 취역하여 프랑스 해군에서 운용되었고, 걸프전, 유고슬라비아 내전에 참전했다. 클레망소는 1997년, 포슈는 2000년에 퇴역하였으며, 포슈는 브라질 해군에 판매되어 상파울루로 운용되다 2023년 침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클레망소급 항공모함 - 프랑스 항공모함 클레망소
    프랑스 해군 항공모함 클레망소는 1960년대 말부터 1990년대 말까지 프랑스 해군의 주력 전력으로 활동하며, 다양한 작전에 투입되어 핵무기 탑재 능력을 갖추기도 했으나, 퇴역 후 환경 문제로 해체에 어려움을 겪다가 2009년 튀르키예에서 해체되었다.
클레망소급 항공모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개요
함 종류항공 모함
건조DCNS
운용 국가
브라질 해군
이전 함급(계획)
(실제)
건조 척수2척
운용 기간1961년–2017년
폐기 척수1척 (의도적 자침)
해체 척수1척
제원
배수량표준 22,000 톤; 최대 32,780 톤
길이265 m
51.2 m
흘수선8.6 m
추진6 × 보일러
4 × 증기 터빈
126,000 shp
속력32 노트 (59 km/h)
항속 거리7,500 마일
무장
무장8 × 100mm (현재 상파울루함은 4 × 2연장 Simbad 발사기 및 5 × 12.7 mm 기관총)
탑재 항공기
탑재 항공기40대
항공기 운용 시설CATOBAR 작동을 위한 경사 갑판
기타
탑재기고정익기 × 37대
헬리콥터 × 2대
C4ISENIT-2 전술 정보 처리 장치 (나중에 장착)
레이더DRBV-23B 대공 수색용
DRBV-15 대공/대수상 수색용
데카 1226 항법용
DRBI-10 고도 측정용
NRBA-51 정밀 진입용
소나SQS-503 수색용
전자전ARBR-16/17 전파 탐지 장치
ARBX-10 주파수 분석 장치
DAGAIE 기만체 발사기 × 2대
SAGAIE 기만체 발사기 × 2대

2. 역사적 배경

1938년, 프랑스 해군은 노르망디급 전함을 개조한 베아른의 운용 경험을 바탕으로 최초의 신조 항공모함 조프르 건조에 착수했지만, 나치 독일의 프랑스 침공으로 인해 미완으로 끝났다. 베아른은 노후화로 인해 1945년 수송함으로 전용되었다.

자유 프랑스 해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1945년 4월 어벤저급 호위 항공모함 딕스뮈드를, 1946년 4월에는 콜로서스급 경항공모함 아로망슈를 획득하여 함대 항공 전력을 재정비했다.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발발하자 이 두 항공모함은 실전에 투입되었고, 해상 항공 기지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1947년, 영국 해군의 경항공모함과 비슷한 규모(만재 배수량 20,000톤, 전장 230미터)의 국산 항공모함 PA 28 계획이 승인되었다. 1번함은 "클레망소"로 명명될 예정이었으나, 1950년 항공모함의 군사적 가치에 대한 견해 미확립으로 취소되었다. 같은 해, 미국의 상호 방위 원조 계획(MDAP)에 따라 인디펜던스급 경항공모함 라파예트와 보아 벨로를 획득하여 국산 항공모함 취역 전까지 운용했다.

이와 동시에 국산 항공모함 계획이 다시 추진되어 PA 54 계획으로 이어졌고, 1953년1955년에 각각 1척씩 건조가 승인되었다. 이를 통해 프랑스 해군 최초의 신조 항공모함인 클레망소급 항공모함이 건조되었다.

2. 1. 초기 구상 및 개발

1950년대 초, 프랑스 해군은 아로망슈를 포함한 여러 척의 항공모함을 운용했지만, 이들은 모두 소형이어서 점차 커지는 현대적인 항공기를 운용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프랑스의 국방 자립을 위해, 35,000톤 미만의 배수량을 가진 두 척의 최신형 기동 항공모함 건조가 구상되었다. 이 함선들은 영국 해군의 43,000톤급 오데셔스급 함선들보다 약간 작았지만, 앵글드 비행 갑판, 증기 캐터펄트, 착함 보조 장치 등 항공모함 설계의 최신 기술을 활용하여 처음부터 건조되었으며, 프랑스에서 설계한 최신형 함재기를 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1]

1949년 해군 참모총장은 2만 톤급 항공모함 4척을 2단계로 확보할 것을 요청했고, 같은 해 8월 해군 최고 회의에서는 6척의 항공모함 함대를 요청했다. 1952년 7월, 프랑스 해군은 2~5척의 항공모함을 원했으며, 같은 해 리스본 회의의 최종 문서(RCM 12)에 따르면, 프랑스는 D-day에 항공모함 1척, 30일째에 2척, 180일째에 3척을 NATO에 제공해야 했다. 그러나 1953년까지 해군은 항공모함 2척에 만족해야 했다. 1953년에 예산이 책정된 PA 54 클레망소는 1955년 11월까지, 1955년에 예산이 책정된 PA 55 포슈는 1957년 2월까지 지연되었다.[2]

프랑스 해군은 노르망디급 전함을 개조한 베아른의 운용 경험과 조프르 건조 계획(미완)을 바탕으로 항공모함 건조 경험을 축적했다. 자유 프랑스 해군은 1945년 4월 딕스뮈드, 1946년 4월 아로망슈를 획득하여 함대 항공 전력을 재정비했다.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이 두 항공모함은 실전에 투입되어 해상 항공 기지로서 가치를 인정받았다.

1947년에는 국산 항공모함 PA 28 계획이 승인되었으나, 항공모함의 군사적 가치에 대한 견해가 확립되지 않아 1950년에 취소되었다. 같은 해, 미국의 상호 방위 원조 계획(MDAP)에 따라 인디펜던스급 경항공모함 라파예트와 보아 벨로를 획득했다. 이와 병행하여 국산 항공모함 계획도 다시 진행되어 PA 54 계획으로 이어졌고, 1953년1955년에 각 1척의 건조가 승인되어 본 급(클레망소급)이 건조되었다.

3. 설계

1 : 100mm 함포; 2 : 무장 통제 레이더 DRBC-31형; 3 : 항공기용 엘리베이터; 4 : 15톤 크레인; 5 : 항공기 접근 레이더 NRBA-50형; 6 : 고도 레이더 DRBI-10형; 7 : 굴뚝; 8 : 근접 레이더 DRBV-20형; 9 : TACAN 안테나; 10 : 저고도 및 대공 레이더 DRBV-50형; 11 : 근접 레이더 DRBV-23형; 12 : 고도 레이더 DRBI-10형; 13 : 무장 통제 레이더 DRBC-31형


클레망소급 항공모함은 계획 기준 배수량이 22000ton이며, 전장은 약 257.56m이다. 동시대의 영미 항공모함 (에식스급, 센토어급 허미즈)과 비교하면 배수량에 비해 전장이 길어 비행 갑판 면적을 확보하기 쉬웠다. 비행 갑판은 강도 갑판으로 45mm의 장갑이 설치되었고, 기관부 등 주요 구획에는 30~50mm의 장갑이 추가되었다. 클레망소 취역 후 복원성 부족이 드러나 해당 함은 수선부 중앙에 벌지를 장착하는 개수 공사를 받았고, 당시 건조 중이던 포슈는 처음부터 벌지를 장착하고 건조되었다.

주 기관은 보일러 6기와 증기 터빈을 사용하여 2축 추진기를 구동한다. 이 규모의 함선에서 2축 추진을 채택한 것은 전례가 없으며, 1축당 63,000 마력의 출력은 미국 해군의 초대형 항공모함(슈퍼 캐리어)을 제외하면 최대급이다. 보일러의 증기 성상은 압력 45kgf/cm2, 온도 450℃였다.

함내에는 차열, 방음을 위해 대량의 아스베스트가 사용되었다. 1960년대 설계 당시에는 발암성 등 인체 영향이 문제시되지 않았지만, 2000년대에 1번함 클레망소 해체 시 처리 문제가 부각되었고, 2번함 상파울루의 해체가 어려워지는 영향이 발생했다.

3. 1. 선체 및 비행 갑판

계획 기준 배수량은 22000ton이며, 전장은 약 257.56m이다. 동시대의 영미 항공모함 (에식스급, 센토어급 허미즈)과 비교하면 배수량에 비해 전장이 길어 비행 갑판 면적을 확보하기 쉬웠다.[1] 비행 갑판은 강도 갑판으로 45mm의 장갑이 설치되었다. 기관부 등 주요 구획에는 30~50mm의 장갑이 추가로 설치되었다.[2] 클레망소 취역 후 복원성 부족이 발견되어 수선부 중앙에 벌지를 장착하는 개수 공사를 받았으며, 당시 건조 중이던 포슈는 처음부터 벌지를 장착하고 준공되었다.[3]

주 기관은 보일러 6기와 증기 터빈을 사용하여 2축 추진기를 구동한다. 이 규모의 함선에서 2축 추진을 채택한 것은 전례가 없으며, 1축당 63,000 마력의 출력은 미국 해군의 초대형 항공모함(슈퍼 캐리어)을 제외하면 최대급이다.[2] 보일러의 증기 성상은 압력 45kgf/cm2, 온도 450℃였다.[4]

함내에는 차열, 방음을 위해 대량의 아스베스트가 사용되었다. 1960년대 설계 당시에는 발암성 등 인체 영향이 문제시되지 않았지만, 2000년대에 1번함 클레망소 해체 시 처리 문제가 부각되었고, 2번함 상파울루의 해체가 어려워지는 영향이 발생했다.[8]

비행 갑판의 전장은 257m이다. 건조 지연으로 인해 전후 신기술인 앵글드 데크를 무리 없이 도입할 수 있었다. 함미 갑판은 93m × 28m, 함수미선에 대해 8도 각도로 열린 앵글드 데크는 165.5m × 29.5m 면적을 가진다.[4]

앵글드 데크와 마찬가지로 증기 캐터펄트도 처음부터 도입되었다. 영국제 미첼 브라운 BS5형이 채택되어 함수 갑판과 앵글드 데크에 1기씩 장비되었다. 캐터펄트 전장은 52m로, 15~20톤의 항공기를 110노트까지 가속할 수 있었다.[2][4]

비행 갑판에는 식별 기호로 "클레망소"에는 "U", "포슈"에는 "F"가 그려져 있었다.[5]

3. 2. 기관

주 기관은 보일러 6기 및 증기 터빈을 사용하여 2축의 추진기를 구동한다. 이 규모의 함선에서 2축 추진을 채택한 것은 전례가 없으며, 1축당 63,000 마력이라는 출력은 미국 해군의 초대형 항공모함 (슈퍼 캐리어)을 제외하면 최대급이다[8] . 보일러의 증기 성상은 압력 45kgf/cm2, 온도 450℃였다[8] .

또한, 차열, 방음을 위한 내장재로 함내에는 대량의 아스베스트가 사용되었다. 1960년대에는 발암성 등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문제시되지 않았지만, 2000년대에 1번함 「클레망소」를 해체할 때 처리 문제가 현저해지고, 2번함 「상파울루」의 해체가 어려워지는 영향이 발생했다[8] .

3. 3. 방어 체계

신조 당시에는 전후 양현의 스폰손에 Mle.53 100mm 단장포를 2기씩 총 8기를 탑재했다. 그 후, "클레망소"는 1985년, "포슈"는 1987년에 각각 개장을 받아, 우현 전부 및 좌현 후부의 포를 철거하고, 각각 크로탈 단SAM의 8연장 발사기로 교체했다.[1] 이 발사기는 FCS와 일체형이며, 또한 그 아래의 탄약고를 포함하여 미사일 18발을 탑재한다.[2][3]

"포슈"가 브라질에 매각될 때, 100mm 단장포와 크로탈 발사기는 철거되었다. 미스트랄 발사기에 대해서는 철거되었는지 잔존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브라질에서는 2010년에 "상 파울루(구 포슈)"의 오버홀을 실시했고, 이 때 미스트랄의 2연장 간이 발사기 심바드가 3기 탑재되었다(만약 사드랄이 잔존해 있었다면 이 때 철거되었을 것이다).

4. 함재기

클레망소급 항공모함은 다목적 항공모함으로 설계되어 전투기, 공격기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함재기를 탑재했다. 초기에는 40대 규모의 함재기를 탑재했으며, 여기에는 대잠전 임무를 위한 알리제 대잠 초계기 및 헬리콥터도 포함되었다.[1]

1990년대에는 알리제 7기, AS.365N 헬리콥터 2기 이상을 표준 탑재했다.[1] 1991년 걸프 전쟁 직전, ''클레망소''는 오퍼레이션 살라만데의 일환으로 아에로스파시알 가젤 30대와 아에로스파시알 SA 330 푸마 12대를 사우디 아라비아로 수송하기도 했다.[5]

4. 1. 전투기 및 공격기

클레망소급에는 40대의 함재기가 탑재되었다. 처음부터 다목적 함대 항공모함으로 설계된 클레망소급 항공모함은 1961년에 각각 10대의 IVM 공격형과 IVP 정찰형 다소 에탕다르 IV 공격기를 탑재한 항공단을 갖추었고, 최대 8대의 브레게 알리제 항공기가 대잠전 임무를 위해 탑재되었으며, 방공 임무에는 수드 아비에이션 아퀼롱(면허 생산된 드 해빌랜드 시 베놈) 전투기 편대가 배치되었다.[1]

이후 더 성능이 향상된 미사일 장착 보우트 F-8 크루세이더가 배치되었으며, 1963년부터 8대의 항공기 편대가 탑재되었다. 크루세이더는 ''포슈''가 2000년에 퇴역할 때까지 두 항공모함에서 운용되었다. 다소-브레게 슈퍼 에탕다르는 1978년에 두 함선에서 운용되기 시작했다. 슈퍼 에탕다르는 엑조세 미사일과 에어-솔 모옌 포르테(ASMP) 핵 미사일을 모두 탑재할 수 있었는데, 이는 이전의 에탕다르 IV(자유 낙하 핵폭탄만 장착)에는 없었던 원거리 핵 공격 능력을 이 함선에 부여했다.

''클레망소''와 ''포슈''는 1977년 9월 ~ 1978년 11월과 1980년 7월 ~ 1981년 8월(''포슈'')에 걸쳐 현대화되었다. 이 수명 연장 업그레이드를 통해 새로운 슈퍼 에탕다르를 수용할 수 있게 되었다.

1990년대의 표준적인 탑재기는 다음과 같았다.

종류기종수량
함상 공격기쉬페르 에탕다르18기
정찰기에탕다르 IV P4기
함상 전투기F-8E(FN) 크루세이더8기
대잠 초계기알리제7기
헬리콥터AS.365N2기 이상



함상 전투기로는 처음에는 아키론을 탑재했으나, 1963년미국으로부터 크루세이더를 구입하여 1966년에 개조를 실시해 순차적으로 탑재했다. 1988년에는 "포슈"에서 미국 해군의 F/A-18 전투 공격기의 운용 시험이 실시되었지만 도입은 실현되지 않았다. 크루세이더는 1990년대에 F-8EP 사양으로 업데이트된 후, 1999년 10월에 운용을 종료했다.

함상 공격기는 취역 당시에는 에탕다르 IV였지만, 1970년대 말부터 쉬페르 에탕다르로 갱신되었다. 해당 기종은 1986년부터의 근대화 개수를 통해 핵탄두 탑재 ASMP순항 미사일의 운용 능력이 부여되어, 본급도 캐터펄트와 탄약고를 개수하여 핵 공격 능력을 갖게 되었다.

4. 2. 대잠기 및 헬기

클레망소급에는 40대의 함재기가 탑재되었는데, 여기에는 대잠기 및 헬기도 포함되었다. 8톤 브레게 알리제 프로펠러 대잠기 8대, 4톤 돌핀 페드로 탐색구조 헬기 2대, 그리고 13톤 슈페르 프렐롱 대잠 헬기 2대가 탑재되었다.[1]

1991년 걸프 전쟁 직전, ''클레망소''는 오퍼레이션 살라만데(오퍼레이션 다게의 공중 구성 요소)의 일환으로 아에로스파시알 가젤 30대와 아에로스파시알 SA 330 푸마 12대를 사우디 아라비아로 수송했다.[5]

1990년대 표준 탑재기 중 대잠 초계기는 알리제 7기였고, 헬리콥터는 AS.365N 2기 이상이었다.

5. 운용 및 실전 기록

클레망소는 1990년 걸프 전쟁에 참전하기 위해 툴롱항을 출발, 페르시아만으로 향했다.[1] 1995년 사라예보에서 프랑스 병사 2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자, 포슈아드리아해로 진입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 포슈는 2000년에 브라질 해군에 상파울루로 재취역하였다.[1]

5. 1. 걸프전 참전

1990년 8월 13일, 승무원 1,000명과 헬기 40대를 탑재한 항공모함 클레망소가 미사일 순양함 콜베르, 연료보급선 바르호와 함께 툴롱항을 출발하여 걸프 전쟁 참전을 위해 페르시아만으로 향했다.

5. 2. 유고슬라비아 내전 개입

1995년 5월 27일, 사라예보의 유엔 평화유지군 초소를 지키던 프랑스 병사 2명이 세르비아군과의 전투에서 사망하고 초소를 빼앗겼다. 이에 프랑스 합참의장 자크 랑사드 장군은 28일 항공모함 포슈가 2척의 호위함과 함께 출항하여, 30일 아드리아해에 진입할 것이라고 말했다.[1]

5. 3. 브라질 해군에서의 운용 (포슈)

포슈는 2000년 9월에 브라질 해군으로 넘어가 상파울루로서 재취역하였다.[1]

6. 함선 목록

함번함명건조기공진수취역퇴역현황
R98클레망소브레스트 해군 조선소1955년 11월1957년 12월 21일1961년 11월 2일1997년 10월 1일하틀풀에서 2009년 해체
R99포슈아틀란티크 조선소, 생나제르1957년 11월 15일1960년 7월 23일1963년 7월 15일2000년 11월 15일브라질 해군상파울루로 판매. 2017년 2월 14일 퇴역. 2023년 2월 3일 침몰.


참조

[1] 서적 Illustrated Directory of Warship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MBI Publ. 2012-02-13
[2] 웹사이트 Présentation Porte Avions Foch http://www.alabordac[...] 2014-10-24
[3] 서적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World Naval Weapon Systems https://books.google[...] Naval Institute Press 2006
[4] 웹사이트 Clemenceau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14-10-24
[5] 서적 The World's Greatest Naval Vessels and Their Aircraft https://books.google[...] Zenith Press 2004
[6] 간행물 War Machines Encyclopedia Aerospace Publishing Ltd 1984
[7] 뉴스 New ghost ship heads to Teesside http://news.bbc.co.u[...] BBC News 2009-02-08
[8] 뉴스 トルコ、ブラジル「アスベスト船」の解体許可取り消し https://www.afpbb.co[...] フランス通信社 2022-10-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